r40 vs r41
......
2929
3030레벨의 배경은 [[3번째 세계]]의 동굴 배경을 곡에 맞게 얼음 동굴로 바꾸었는데, 퀄리티가 좋다. 곡의 신비로운 느낌을 잘 살린 배경.
3131카메라 이동과 이펙트는 다양하지 않지만 그렇다고 밋밋하지 않고 보는 맛이 있게 잘 만들어졌다. 흔히 말하는 '공식풍' 느낌의 이펙트라 할 수 있다.
32= 튜토리얼 =
33== FZ-1 프리즈타일을 소개합니다 ==
32== 튜토리얼 ==
33=== FZ-1 프리즈타일을 소개합니다 ===
3434||<table align=left><-6><tablewidth=400><colbgcolor=#b8edff><table bordercolor=#1a5091><colcolor=#000>{{{#!wiki style="margin: -5px -10px; padding: 6px 10px; background-image: radial-gradient(circle at 100% 50%, #b8edff 30%, #1a5091)" {{{#fff FZ-1[br]'''{{{+2 프리즈타일을 소개합니다}}}'''[br]{{{-1 Introducing Freezetile}}}}}}}}} ||
3535||<-6><nopad> [youtube(0)] ||
3636||<width=25%> '''BPM''' ||<-3>155 ||
3737|| '''타일 수''' ||<-3>36 ||
3838|| '''배우는 패턴''' ||<-3>프리즈타일 기믹 ||
3939위에서 언급한 프리즈타일을 소개하는 튜토리얼이다. 특유의 큐 사인과 이펙트, 카운트다운 때문에 타이밍 잡기가 수월하다.
40== FZ-2 날아오르는 행성 ==
40=== FZ-2 날아오르는 행성 ===
4141||<table align=left><-6><tablewidth=400><colbgcolor=#b8edff><table bordercolor=#1a5091><colcolor=#000>{{{#!wiki style="margin: -5px -10px; padding: 6px 10px; background-image: radial-gradient(circle at 100% 50%, #b8edff 30%, #1a5091)" {{{#fff FZ-2[br]'''{{{+2 날아오르는 행성}}}'''[br]{{{-1 Flying Planets}}}}}}}}} ||
4242||<-6><nopad> [youtube(0)] ||
4343||<width=25%> '''BPM''' ||<-3>150 ||
4444|| '''타일 수''' ||<-3>76 ||
4545|| '''배우는 패턴''' ||<-3>날아오르는 행성 기믹 ||
4646날아오르는 행성 기믹을 연습하는 튜토리얼이다.
4747기믹이 시작되면 행성 하나가 축이 되어 위로 이동하고, 다른 행성이 그 주의를 공전하면서 같이 이동하는 방식이다. 그 중 축이 되는 행성의 이동 경로에 처리해야 할 타일이 어두운 원 모양으로 표시된다. 처리해야 하는 타일은 일반 타일과 홀드 타일로 구분되며, 음영이 진 원의 길이를 보고 판단할 수 있다.
48== FZ-3 오 ==
48=== FZ-3 오 ===
4949||<table align=left><-6><tablewidth=400><colbgcolor=#b8edff><table bordercolor=#1a5091><colcolor=#000>{{{#!wiki style="margin: -5px -10px; padding: 6px 10px; background-image: radial-gradient(circle at 100% 50%, #b8edff 30%, #1a5091)" {{{#fff FZ-3[br]'''{{{+2 오}}}'''[br]{{{-1 Impact Event}}}}}}}}} ||
5050||<-6><nopad> [youtube(0)] ||
5151||<width=25%> '''BPM''' ||<-3>150 ||
5252|| '''타일 수''' ||<-3>88 ||
5353|| '''배우는 패턴''' ||<-3>날아오르는 행성 기믹 심화 ||
5454앞서 배운 날아오르는 행성 기믹의 심화 버전 튜토리얼이다.
5555축이 되는 행성으로 처리해야 하는 노트는 여전히 존재하고, 그 왼쪽 라인에 공전하는 행성으로 처리해야 하는 노트가 추가로 생긴다. 홀드 타일은 등장하지 않는다.
56= 메인 레벨 구성 =
56== 메인 레벨 구성 ==
5757{{{#!wiki style="background-image: linear-gradient(to right, #2C223D, #304761); border: 2px solid #251f48; border-radius: 10px; padding: 5px 0 5px 0; letter-spacing: -.5px; text-align:center; width: 100%;" {{{+1 {{{#fff '''레벨 구성'''}}}}}}
5858||<tablewidth=100%><tablecolor=#000><rowcolor=#000,#fff><colcolor=#000,#fff><tablebgcolor=#f5f5f5,#2d2f34><-2><width=20px> 구간 1 ||<-1><width=40px> 구간 2 ||<-3><width=25px> 구간 3 ||<-1><width=40px> 구간 4 ||<-1> 구간 5 ||
5959||<-1><bgcolor=#FFEE6B><colcolor=#000> [[파일:Level_Tag_Gimmick.png|width=20px]][br]{{{-3 ~13%}}} ||<-1><bgcolor=#8affab><colcolor=#000> [[파일:Level_Tag_Tresillo.png|width=15px]][br]{{{-3 ~15%}}} ||<-1><bgcolor=#FFEE6B><width=15%><colcolor=#000> [[파일:Level_Tag_Gimmick.png|width=30px]][br]{{{-3 ~43%}}} ||<-1><bgcolor=#8affab><colcolor=#000> [[파일:Level_Tag_Octagon.png|width=15px]][br]{{{-3 ~44%}}} ||<-1><bgcolor=#FFEE6B><colcolor=#000> [[파일:Level_Tag_Gimmick.png|width=20px]][br]{{{-3 ~53%}}} ||<-1><bgcolor=#8affab><colcolor=#000> [[파일:Level_Tag_Tresillo.png|width=15px]][br]{{{-3 ~56%}}} ||<-1><bgcolor=#ff4257><width=15%><colcolor=#fff> [[파일:Level_Tag_Gimmick.png|width=35px]][br]{{{-3 ~87%}}} ||<-1><bgcolor=#8affab><colcolor=#000> [[파일:Level_Tag_Tresillo.png|width=20px]][br]{{{-3 87%~}}} ||
......
7373 * FZ-3 튜토리얼에서 더 나아가 왼쪽 라인 노트와 중앙 라인 홀드 타일까지 복합적으로 등장한다. 이 레벨에서 가장 까다로운 구간이다.
7474'''5. 마무리 구간'''
7575 * 특별한 기믹이나 패턴 없이 무난하게 지나갈 수 있는 구간이다.
76= 주요 스크린샷 =
77= 여담 =
76== 주요 스크린샷 ==
77== 여담 ==
7878 * 기믹에 등장하는 얼음 소리는 Rhythm Doctor 5장부터 등장하는 동결 박자의 히트사운드이다.